TradingView
bok_ri_
7 feb 2023 03:16

[2월 7일 - 금리] 금리 5%에 취하면 생기는 일 Lång

United States Interest RateTrading Economics

Beskrivning

로또띠라우

오늘은 연준금리차트를 잠깐 띄워봤습니다
현재 4.75%에 위치하고 있지요

한국은 3.5%이구요

예금금리가 4%대, 대출금리도 5%대입니다.

이렇게 되면 어린아이 새뱃돈부터 할무니들 장롱에 있는 돈까지
은행에 들고와 예금 적금을 가입하곤하죠
개인, 기업 등등 대출받아 사업확장(투자)을 했었던 돈을 거둬들입니다
그 결과 시장에 돌고 묵혀있던 돈들이 은행으로 들어가되고
시중통화량(시장에 있는 돈의 양)은 감소하죠
이정도는 모두가 아는 사실입니다.

그 이후를 생각해 보신적있나요? 은행으로 들어간 돈은 어떻게 될까요?

은행은 돈넣고 돈먹는 이자장사를 하는 집단입니다
돈을 먹으려면 예금 금리보다 비싼 대출을 많이 받아야 예금이자를 돌려줄 수 있겟죠

이때 대출해주는 돈이 누구돈일까요?
은행의 자본금? 도준이가 분당땅 팔아서 남겨먹은돈?

바로 고객에게 예금 적금으로 들어온 돈을 대출해주는 것이죠
어? 이건 사기아냐? 내돈을 내허락 없이 왜빌려줘?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합법적인 행동입니다.
대신~ 은행 예금액 중에 몇%만 남기고 빌려줄수있어라는 단서조항을 달아놓죠
이러한 비율을 '지급준비율'이라고 합니다.
영어로는 'Reserve Requirement Ratio'


미국, 일본, 한국의 지급준비율입니다
미국 0%, 일본 0.8%, 한국 7%

자 머리가 아파옵니다 하지만 이제부터 잘 이해 하셔야합니다.

철수가 한국은행에 100만원을 들고 예금을 묶어둡니다
한국은행은 7만원만 남기고 93만원을 돈이 필요한 사업자, 제2금융권 등에게 대출해줍니다.
모든 돈은 193만원이 되어 버렸네요. 허구의 자본 93만원이 생겨버렸습니다.
제2금융권에 들어간돈은 또 대출이되고 대출이 대출을 만들고 무한대로 허구의 자본이 생겨납니다.

이렇게 잔고 7%만 남기고 대출이 계속 된다고 가정하면
무한등비수열의 합 : 1/(1-0.93)=14.28...
100만원의 돈이 약14배가 불어난 1400만원까지 불어날수있습니다.

경기침체, 저성장이 지속되면 은행에서는 계속 대출해주고 또 대출해주고 또 대출해주다보면
모든 돈 즉 '총 통화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것입니다.

금리가 쭉쭉올라가면 시중통화량은 줄어들어 유동성은 줄어들겠지만
전체시장으로 보면 총통화량은 늘어나는것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지폐의 가치는 하락하게되고 자산의 가치는 계속해서 올라가게 되는것이죠
우리가 따라가지 못할정도로 말이죠

감사합니다.
Kommentarer
TradingView
에디터즈 픽에 선정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
bok_ri_
@TradingView, 오 처음이네요 감사합니다^^
bok_ri_
@obv3561, 지준율을 알면 너무 당연한 이야기를 써놔서 남의 글짜집기라하면 할말이 없군요... 선생님의 노력에 좋아요를 하나 보냅니다
jinuk80s
얼토당토 않네요.. 이미 누가 지적했듯이 기준금리의 상승은 대출이율 상승-조달비용 증가입니다. 조달비용의 증가는 더 높은 마진율을 요구합니다. 근데 예금금리가 올랐어요. 누가 더 비싼 돈을 주고 소비를 하죠? 자산도 마찬가집니다. 예금금리가 10%라고 칩시다. 시중자금은 은행으로 갑니다. 대출금리는 12%라 치죠. 사람들은 돈을 빌려 집을 살까요? 텐트를 치고 살아도 은행에 넣어 둬야죠. 확정 연수익이 10%인데, 조달금리는 12%에요. 네, 기대수익률은 최소 연 22%가 나와야 이자 값고 예금을 했을 때의 기대수익 10%를 퉁 칠수 있는 겁니다. 멍청하기 짝이 없죠. 그래서 중앙은행은 금리를 조절하 경기를 조작하는 겁니다. 즉 금리를 올리면 총대출이 줄어 통화량은 감소합니다.
97c18cb715a3429c9311c38486e0ba
금리가 올라가면 올라간 금리때문에 대출을 받지 않게되고, 그로인해 시중에 풀리는 통화가 줄어들어 유동성이 줄어드는데 금리가 올라가면 통화량이 많아진다니.. 의아하네요
97c18cb715a3429c9311c38486e0ba
금리인상으로 물가를 잡을 수 있는 이유도 통화량 억제를 통해 통화의 가치를 상승시켜 물가를 잡으려고 하는건데.. 막줄은 동의하기 어렵네요
bok_ri_
M2 통화량에서 답을 찾아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요
97c18cb715a3429c9311c38486e0ba
@LOTTO_TTI 네 2023년 1월 드디어 금리인상으로 인해 미국 통화량이 감소했네요. 금리 올리는 효과를 봤다는건데, 금리를 올리는 이유가 시장에 풀리는 통화를 최대한 억제해서 통화의 가치를 올리고 그로인해 인플레이션을 막겠다는건데 막줄에는 그것과 반대로 적혀있어서요.
bok_ri_
@97c18cb715a3429c9311c38486e0ba, 21년 22년 비정상적으로 늘어난 통화량하고 감소량을 비교해보면 좋을거같아요 그리고 앞선시장에서도 금리를 올렸을때 어떻게 반응했는지도 체크해보면 좋을듯 합니다요 한국도 한번 비교해보시구요 그라고 제 의견을 강요하는건 아니니 편하게 생각해주셨으면 좋겠습네다
Mer